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등록 : 2013.07.03 14:53 수정 : 2013.07.03 14:55

툴바메뉴

기사공유하기

보내기
* 공유경제가 뜬다 - ② 자동차 공유
카셰어링 차량을 이용하는 한 시민이 14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공영주차장에서 차 문을 열려고 회원 카드를 승용차 앞유리 안쪽에 있는 카드리더기에 대고 있다. 차 열쇠는 운전대 옆에 꽂혀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농산물 판매하는 중소기업 3~4시간 출장 갈 때 애용
렌터카 견줘 비용 50% 절감…서울 하루 500여명 빌려 써
이용자 80%가 20~30대…도심 교통난 해소…반납은 불편

낯설게 들리던 카셰어링(자동차 공동 이용)이 입소문을 타면서 삶의 다양한 영역으로 퍼져가고 있다. 차량을 소유하지 않고 필요할 때 빌려 타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이다.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 교정에서 지난 12일 만난 대학원생 김요한(28)씨는 교육봉사를 마치고 학교로 돌아왔다고 했다. 지난 4월부터 카셰어링 업체 차량을 1주일에 한두차례 빌려 2시간쯤 이용한다. “필요한 시간에 편한 장소에서 차를 쓸 수 있어 좋아요. 멀리 봉사활동을 다닐 때 무척 유용해요.” 김씨는 이날 2시간30분쯤 빌려 쓰고 유류비까지 1만5000원을 썼다. “2~3명이 함께 쓰면 1인당 교통비는 확 줄어들죠.”

벤처기업 등 작은 회사에선 업무용으로 활용한다. 친환경 농산물을 파는 서울 강남구 헬로네이처는 직원들이 번갈아가며 한달 50여차례 카셰어링을 이용한다. 다른 지역 생산농가를 찾아갈 때나 마케팅업체와 만나러 갈 때 주로 쓴다고 한다. 박병열(38) 대표는 “1박2일 쓸 때는 비용이 렌터카와 비슷하지만, 가까운 곳을 가거나 3~4시간 쓸 땐 훨씬 싸다. 렌터카에 견줘 절반 이상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서울에서 전국으로… = 서울시는 도심 주차난과 교통체증을 줄이려 지난 1월 ㈜그린포인트 컨소시엄(그린카), ㈜쏘카와 ‘나눔카’ 협약을 맺고 지원에 나섰다. 나눔카는 주차장 292곳(서울시 공영주차장 86곳 포함)에서 차량 486대를 운영한다. 나눔카 회원은 2일 현재 7만7970명에 이른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 거주자가 89%지만, 비수도권 회원도 늘고 있다.

하루 평균 이용자는 503명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2월말 363명에 견줘 석달 새 1.4배(140명)로 늘었다.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4시간18분이었다. 이용자는 20대(43%), 30대(38.5%), 40대(15.6%) 차례였다. 서울시는 나눔카 활성화를 위해 공영주차장을 제공하고 주차요금도 50% 깎아준다.

나눔카 말고도 전기차 셰어링도 이용자가 늘고 있다. 서울시는 친환경 전기차 보급을 위해 엘지씨엔에스(씨티카), 코레일네트웍스(유카), 한국카쉐어링(한카), 케이티렌터카 등 4개 사업자와 협약을 맺고 5월부터 전기승용차 184대의 셰어링을 시작했다.

카셰어링은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린카는 광주광역시, 경기도 고양·과천·광명·광주·구리·군포·김포·부천·성남·수원·시흥·안산·안양·용인·의정부·파주·화성, 대구, 대전, 부산, 세종, 인천, 제주, 충남 아산·천안, 충북 청원 등 28개 도시에서 카셰어링에 나섰다.

제주에서 주차존 40곳을 두고 카셰어링을 시작한 쏘카는 서울 등으로 뻗어가고 있다. 제주지역 고객은 주로 대학생과 20~30대 남성이다. 쏘카 쪽은 “제주도민 이용자가 60~70%이고, 나머지는 관광객과 방문객들”이라고 밝혔다. 친구들과 한달에 한번 오름을 오르려고 제주를 찾는다는 최지영(37·경기 파주시)씨는 제주공항에 도착하면 곧바로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을 이용한다. 최근 제주도에서 카셰어링을 이용한 비용은 차량이용료 3만3000원에 유류비까지 5만원 조금 넘게 나왔다고 했다. 친구 3명과 함께였으니 1인당 2만원이 채 들지 않은 셈이다. 최씨는 “카셰어링 차량에는 보험료 등이 포함돼 유류비만 추가하면 된다. 직원을 만날 필요도 없고, 회원 카드로 차량 문을 열고서 이용할 수 있으니 편리하다”고 말했다.





· 카셰어링 ‘1석3조’ 효과? = 북유럽에선 주민들이 자가 승용차를 빌려주며 함께 쓰는 말뜻 그대로의 카셰어링이 활성화돼 있다고 하는데, 국내 카셰어링은 업체를 통해 필요할 때 빌려 타는 형태다. 업무용 차량이 아니면 대여하고 수익을 거두는 것을 법으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얼핏 자동차 렌트에 가까워 보이는 국내 카셰어링 업체에 서울시가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수진 서울시 교통수요관리팀장은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고도 필요한 만큼만 쓰게 되니 가계에 교통비용을 줄인다. 카셰어링이 확산될수록 차량 주행거리를 감축해 도심 교통난도 줄인다. 특히 저소득층이 병원에 다닐 때 값싸게 이용할 수 있으니 사회적 약자의 이동성도 높여준다”고 카셰어링의 공공성을 설명했다. 홍지영 쏘카 마케팅팀장은 “30분 단위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약은 누리집이나 스마트폰 앱에서 가까운 차량의 위치, 주차존에 차량이 있는 시간을 확인하면 된다”고 말했다.

카셰어링 이용자들이 첫손에 꼽는 불편은 차량을 빌린 곳에다 다시 반납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수진 팀장은 “카셰어링 차량을 다른 곳에 세울 수 있는 ‘편도 주차’를 허용하면 도시 외곽에서 도심으로만 몰릴 수 있다. 교통난 저감 효과는 반감된다. 누군가가 다시 다른 주차장으로 차를 옮겨야 하는 비용도 추가된다”고 말했다.

카셰어링은 교통난·주차난·환경오염을 줄이는 묘안으로 주목되며, 60여개국 1000여개 도시에서 시행중이다. 유럽에선 자생적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대중교통과 연계시키는 곳도 있으며, 미국에선 시장 수요에 기반을 둔 사업 확대로 ‘집카’와 같은 성공적인 민간 사업모델로 떠올랐다. 외국의 정부나 지방정부는 카셰어링을 하는 개인·업체에 공영주차장 제공, 주차료 할인뿐 아니라 펀드 조성, 공동 투자 등까지 적극 지원한다고 알려져 있다.

정태우 기자, 제주/허호준 기자 windage3@hani.co.kr

기획연재|공유경제가 뜬다
사회적경제소개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